2011년 11월 16일 수요일

[iplanet]obj.conf_____연동및 옵션

vi로 obj.conf파일을 열어 수정한다.

파일 경로 : iplanet홈/https-aaa(인스턴스서버)/config/obj.conf

- service method JSP 호출의 설정

Service method가 이미 설정된 것들이 4줄정도 있는데 4개의 service method바로 앞에 추가를 해야한다.
만약 바로 앞에 설정하지 않으면 웹로직 플러그인이 실행되기 전에
다른 service method가 실행되기 때문에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이 발생한다.


1.번 방법
Service method="(GET|HEAD|POST|PUT)" type="text/jsp" fn="wl-proxy" WebLogicHost="127.0.0.1" WebLogicPort="7001" Idempotent="OFF" DynamicServerList="ON" KeepAliveEnabled="ON" ConnectTimeoutSecs="10" ConnectRetrySecs="5

2.번 방법
Service method="(GET|HEAD|POST|PUT)" type="text/jsp" fn="wl-proxy" WebLogicCluster="127.0.0.1:7001, 127.0.0.1:7002" Idempotent="OFF" DynamicServerList="ON" KeepAliveEnabled="ON" ConnectTimeoutSecs="10" ConnectRetrySecs="5


- URL경로를 이용해 웹로직의 application을 호출


<Object name="test" ppath="*/weblogic/*">
Service fn="wl-proxy" WebLogicCluster="211.110.82.32:8001,211.110.82.32:8002" Idempotent="OFF"
DynamicServerList="ON" KeepAliveEnabled="ON" ConnectTimeoutSecs="10"
ConnectRetrySecs="5" PathTrim="/weblogic"
</Object>
***obj.conf의 파라미터를 기입하면서 공백을 주면 오동작의 우려가 있음
***WebLogicCluste 설정시 ,콤마로 구분하기를 권장함

위의 Object태그는 하단에 추가하면 된다.
*나머지 Object태그는 모두 주석으로 막는다.   안될때만 막는다.


j2ee 관련된 옵션은 #로 다 막는다.

#NameTrans fn="ntrans-j2ee" name="j2ee"  주석처리
#ObjectType fn="type-j2ee"

[weblogic]Was 란? (Web Application Server)

클라이언트<---->웹서버<----> Was<-----> DB



3계층 웹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환경에서 트랜잭션 처리및 다른 기존 시스템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등을 주된 기능으로 하고있다.

웹과 기업의 기간 시스템 사이에 위치하면서, 웹 기반 부산 시스템 개발을 쉽게 도와주고 안정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보장해 주는 일종의 미들웨어 서버


1) 플랫폼 기능 (Platform service)
- 다양한 기반으로 구축된 클라이언트와의 인터페이스 제공

2) 런타임 매니지먼트 서비스(Runtime management services)
- WAS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리포팅하는 기능

3) 통합 기능 (Integration services)
- 기존의 시스템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간의 통합기능을 제공

4) 툴개발 (Tool development)
- 기업에게 다른응용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툴 제공

5) 보안 서비스 (Security)
- 정보사용자에게 각기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보안력 강화





 *****WAS종류

Jeus - TMax
Weblogic - 오라클(구 BEA)
Websphere - IBM
OAS - 오라클


*****weblogic 설치모드

Silent-mode - 웹로직 설치시 필요한것들을 미리 xml파일로 저장 후 그 xml 파일을 이용해 자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이다.

console mode - 일반적으로 telnet창에서 txt모드로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Unix나 Cmd]

GUI mode - 윈도우 창처럼 위저드가 나와서 마우스 클릭으로 설치 하는 방법[ X윈도우나 윈도우]